< 목록으로

장애인 개인예산제 중도포기 사유 50.4% ‘활동지원 시간’ 부족

M
자동관리자
2024.10.07
추천 0
조회수 165
댓글 0

활동지원급여 20% 차감해 활용하는 현행 방식 '실효성 문제' 제기

최보윤, '신규 급여 편성, 각 부처 다양한 영역의 서비스 통합' 주문

조규홍 장관, "시범사업에서 잘 검토, 본사업에서 제대로 추진" 답변


권중훈 기자 입력 2024.10.07 19:39 수정 2024.10.07 20:03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최보윤 의원(국민의힘)이 7일 복지부 국정감사에서 현재 시범 운영 중인 장애인 개인예산제의 실효성 문제를 지적하며 신규 급여 편성, 각 부처의 다양한 영역의 서비스를 통합할 수 있도록 부처별  장벽 제거를 주문했다.

장애인 개인예산제는 국정과제와 제6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을 통해 윤석열 정부에서 처음 도입된 제도로, 획일적인 서비스에서 벗어나 장애인이 주어진 예산 범위 내에서 스스로 필요한 서비스를 직접 선택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복지서비스다. 올해 7월 기준 8개 시군구에서 212명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이 진행 중이며, 오는 2026년 본사업에 들어간다.

하지만 현행 제도는 장애인활동지원 급여의 최대 20%를 차감해 개인예산으로 활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 현장의 비판이 끊이질 않고 있다. 기존 장애인활동지원 시간 자체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이를 차감해 개인예산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은 ‘아랫돌 빼서 윗돌을 괴는 것’과 같은 행태라는 지적이다.

실제로 개인예산제 본 사업 시행을 위한 지난해 모의적용과 올해 시범사업 신청자 중 상당수가 활동지원 시간 부족을 이유로 사업 참여를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의적용과 시범사업 전체 중도 포기 지원자 117명 중 활동지원 시간 부족이 원인이 된 경우는 총 59명으로 50.4% 절반에 달한다.

이에 최 의원은 실효성을 위해 개인예산제 자체 예산의 총량을 늘리는 신규 급여 편성, 다른 예산을 개인예산으로 합산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두 가지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현재와 같이 기존 서비스를 축소하는 방식으로는 장애인의 실질적인 선택권 보장이 어렵다는 이유다. 장애인들이 개인예산제를 위해 일상생활의 필수적인 도움인 활동지원급여를 포기할 수 없고 현행 서비스에 더해 플러스, 알파가 되는 신규 급여 편성이 필요하다는 것.

또한 건강보험, 근로지원, 여가활동 지원 등 각 부처의 다양한 영역의 서비스를 통합해 장애인의 실제 욕구에 맞는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최 의원은 “이번 정부에서 처음 시도되는 제도이고, 장애인들에게 큰 관심과 기대를 갖는 제도”라면서 “신규 급여 편성과 각 부처 다양한 영역의 서비스를 통합할 수 있게 부처별 장벽 제거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답변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조규홍 복지부장관은 “개인예산제를 도입하게 된 게 장애인 선택권 확대 측면으로 활동지원 급여가 부족한 것은 그거대로 예산을 늘려야 한다”면서 “선택권 확대를 위해 복지부에서 할 수 있는 바우처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바우처 변경모델을 우선 추진하고 시범사업이 2025년까지인데 이후에는 타부처, 즉 문체부 교육부 사업도 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렇게 하려면 제정에 예외를 둬야되기 때문에 법적인 근거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 “신규 급여 편성, 부처별 장벽 제거 방안이 어떻게 추진될 수 있을지 시범사업에서 잘 검토해서 본사업에서는 제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권중훈 기자 gwon@ablenews.co.kr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5454

댓글

관련 기사

공지 복지멤버십 동시신청 가능 급여에 부모급여, 양육·아동수당 추가
M
자동관리자
조회수 851
추천 0
2025.01.15
공지 복지부, 기초생활수급자 근로능력 ‘있음’ 판정 이유 알려준다
M
자동관리자
조회수 781
추천 1
2025.02.25
공지 의료·건강·요양·주거 한번에 ‘서울형 통합돌봄서비스’ 시작
M
자동관리자
조회수 796
추천 0
2025.02.25
공지 복지 사각지대 발굴시스템 연계 정보 47종으로 확대
M
자동관리자
조회수 808
추천 0
2025.02.25
‘제45회 흰지팡이의 날’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개편 등 10가지 요구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64
추천 0
2024.10.17
복지부,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우수사례 공모전’‥11월 8일까지 접수
M
자동관리자
조회수 201
추천 0
2024.10.17
제12회 대한민국장애인예술경연대회 결선 ‘스페셜K 어워즈’ 16일 개최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77
추천 0
2024.10.15
한국조폐공사, ‘모바일 장애인등록증 발급 전담기관’ 지정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80
추천 0
2024.10.15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창업 지원 법률·노무 등 전문가 모집‥11월 8일까지
M
자동관리자
조회수 253
추천 0
2024.10.15
장애인도서관, ‘2024년 독서보조기기 지원사업’ 68곳 선정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90
추천 0
2024.10.15
부산발달센터, 발달장애인 법률상담 진행‥11월 30일까지 접수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77
추천 0
2024.10.15
잃었던 ‘발달장애인 투표보조 권리’ 4년 만에 되찾다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73
추천 0
2024.10.14
한강 노벨문학상 수상 파장, 구상솟대문학상도 상금 인상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92
추천 0
2024.10.14
장애인도서관, ‘2024년 책나래서비스 우수 운영도서관’ 12곳 선정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75
추천 0
2024.10.14
6년째 지지부진 장애인건강주치의, 활동 의사 14.7% 불과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97
추천 0
2024.10.14
‘2025학년도 대구대 장애학과 석사?박사과정’ 신입생 모집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78
추천 0
2024.10.10
‘2024 제7회 대한민국패럴스마트폰영화제’ 10일 개막
M
자동관리자
조회수 204
추천 0
2024.10.10
장애인 개인예산제 중도포기 사유 50.4% ‘활동지원 시간’ 부족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65
추천 0
2024.10.07
장애인 특별교통수단·저상버스 지역간 격차 불균형 심각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95
추천 0
2024.10.07
작성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