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으로

고령장애인 활동지원 사각지대 해소, ‘활동지원법 개정안’ 발의

M
자동관리자
2024.06.12
추천 0
조회수 505
댓글 0

고령장애인 활동지원 사각지대 해소, ‘활동지원법 개정안’ 발의

만 65세 이후 장애인되도 활동지원급여 신청 가능 규정

김예지, “고령장애인 차별받지 않게 국회 통과에 힘쓸 것”


기자명: 권중훈 기자 입력 2024.06.12 11:45 수정 2024.06.12 13:30


김예지 국회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이 12일 만 65세 이후 장애인이 된 사람도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고령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장애인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보건복지부 ‘2023년 등록장애인 현황 통계’에 따르면 등록장애인 중 만 65세 이상 장애인의 비율이 꾸준히 증가해 전체 등록장애인의 53.9%인 142만 5095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만 65세 이상 장애인의 수는 늘어나고 있지만,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사각지대로 인해 활동지원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고령장애인이 많아지고 있어 제도개선을 요구하는 장애계의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다.


현행 활동지원법은 활동지원급여 수급자가 만 65세에 이르면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따른 장기요양급여 대상자로 전환되도록 하되, 급여 전환으로 인해 급여량이 일정 시간 이상 감소하는 사람 등에 대해 활동지원급여를 계속 신청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현행 규정은 만 65세 이전에 장애인이 되어 활동지원급여를 수급하던 장애인에게만 적용되고 있어 만 65세 이전에 활동지원급여를 수급하지 않았던 장애인과 만 65세 이후에 장애인이 된 경우에는 활동지원급여를 신청할 수 없고 장기요양급여만을 신청할 수 있다. 같은 연령이어도 장애 출현 시기에 따라 이용 가능한 제도와 급여량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는 것.


이에 개정안은 만 65세 이전에 활동지원급여를 수급하지 않았거나, 만 65세 이후에 장애인이 되어 혼자서 사회생활을 하기 어려운 사람도 활동지원급여를 신청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김 의원은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는 연령과 관계없이 모든 장애인의 자립생활에 필요한 생존과도 같다”라며 “이번 개정안은 장애계의 제22대 국회 장애인 공약 요구사항을 반영한 것으로, 고령장애인이 차별 없이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제22대 국회에서 개정안 통과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권중훈 기자 gwon@ablenews.co.kr

 <출처:>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182>

댓글

관련 기사

공지 복지멤버십 동시신청 가능 급여에 부모급여, 양육·아동수당 추가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044
추천 0
2025.01.15
공지 복지부, 기초생활수급자 근로능력 ‘있음’ 판정 이유 알려준다
M
자동관리자
조회수 983
추천 1
2025.02.25
공지 의료·건강·요양·주거 한번에 ‘서울형 통합돌봄서비스’ 시작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008
추천 0
2025.02.25
공지 복지 사각지대 발굴시스템 연계 정보 47종으로 확대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018
추천 0
2025.02.25
129 보건복지부 상담’ 앱, 언어·청각장애인용 수어영상상담 가능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51
추천 0
2025.04.05
서울시, 자치구 ‘청각장애인 화재경보 시각화·장애인 맞춤 건강관리’ 추진 기자명이슬기 기자 입력 2025.03.27 07:56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53
추천 0
2025.04.05
네일리스트 꿈 키운 '서울형 장애인 개인예산제’ 올해 확대 5월 중 2차 시범사업 130명 모집‥발달장애인 새롭게 추가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51
추천 0
2025.04.05
몸 상태뿐 아니라 주체적인 삶 영위 ‘중증장애인의 건강 인식’ ‘2024 장애인 건강보건관리사업’ 예산 100억원‥6년간 6배 증가 당사자 중심 맞춤형 건강관리·건강 정책 당사자 참여 등 필요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74
추천 0
2025.03.29
서울시, 자치구 ‘청각장애인 화재경보 시각화·장애인 맞춤 건강관리’ 추진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81
추천 0
2025.03.29
“척수장애인 일회용 카테터 보험 인정 기준 확대 필요”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78
추천 0
2025.03.29
서울시, '돌봄SOS' 방문 재활·운동 치료 등 추가 지원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01
추천 0
2025.03.22
복지부, ‘장애인편의점’ 설치 지원 본격 추진‥참여 기관 모집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03
추천 0
2025.03.22
조규홍 복지부장관, 자립지원법 제정 계기 ‘장애인 자립 지원’ 적극 추진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91
추천 0
2025.03.22
여성장애인 사회참여·소득·건강 모두 남성장애인 보다 ‘열악’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09
추천 0
2025.03.17
장애인 사망률 전체 인구 대비 5.3배, 우울·치매 ‘심각’
M
자동관리자
조회수 86
추천 0
2025.03.17
복지부, ‘장애인편의점’ 설치 지원 본격 추진‥참여 기관 모집
M
자동관리자
조회수 97
추천 0
2025.03.17
11종 사회서비스 만족도 조사 평균 92점‥‘언어발달지원’ 1위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14
추천 0
2025.03.11
장애인식개선교육 ‘실효성 강화’ 대면교육 늘린다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17
추천 0
2025.03.11
서울시, 중위소득 100% 이하 장애인 가구 등 집수리 지원
M
자동관리자
조회수 98
추천 0
2025.03.11
작성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