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으로

장애인도서관, 전자출판물 내 특수문자 독음방법 표준 제정 제공

M
자동관리자
2024.01.22
추천 0
조회수 508
댓글 0

국립장애인도서관(관장 원종필)이 장애인에게 특수문자에 대한 정확한 음성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특수문자를 읽는 방법에 대한 표준을 제정하고 누리집에 기술기호, 단위기호, 로마숫자 등 총 819개 특수문자 유니코드의 한글 독음을 제공한다고 16일 밝혔다.

유니코드(Unicode)는 전 세계의 모든 문자에 고유 숫자를 부여해 만든 문자 체계다.

일반적으로 문서를 작성할 때 키보드의 특수기호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의 중간자리 구분(ex, 010-1234-1234)을 위해서 키보드의 ‘-’ 기호를 사용하고 뺄셈식(ex, 5-3=2)을 작성할 때도 같은 기호(‘-’)를 사용한다.

이 경우 특수기호를 음성(TTS)으로 듣게 된다면 전화번호의 경우 공일공 하이픈(‘-’)이라고 읽어 주고 뺄셈식에서는 오 마이너스 삼이 아닌 오 하이픈 삼으로 읽어 준다.

따라서 하이픈을 나타내는 유니코드(U+002D)와 마이너스를 표현하는 유니코드(U+FF0D)를 구분해서 사용해야만 시각장애인에게 정확한 음성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장애인도서관은 지난해 말 정보통신단체표준(TTA.KO-10.1472-Part1) ‘전자출판물 내 특수문자 독음방법- 제1부 상세읽기’ 표준을 제정했다. 표준에는 유니코드 정보와 명칭을 제공하고 같은 특수기호라도 단어와 문장에서의 읽는 방법이 달라질 수 있기에 ‘단독읽기’, ‘문장 읽기’를 구분해 장애인에게 정확한 한글 독음 정보를 제공한다.

장애인도서관 관계자는 “장애인이 음성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책의 내용을 소리로 듣기 위해서는 정확한 읽기 표현이 필요하기에 표준을 제정했고 출판사 및 공공간행물을 발간하는 편집자들이 표준을 이해하고 책을 발간할 때 유니코드 정보를 적극 활용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표준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장애인도서관 누리집 내 연구정보의 표준코너에서 표준의 원문을 내려받을 수 있다.


백민 기자 - 장애인도서관, 전자출판물 내 특수문자 독음방법 표준 제정 제공


출처 : 에이블뉴스(https://www.ablenews.co.kr) 

댓글

관련 기사

공지 복지멤버십 동시신청 가능 급여에 부모급여, 양육·아동수당 추가
M
자동관리자
조회수 510
추천 0
2025.01.15
공지 복지부, 기초생활수급자 근로능력 ‘있음’ 판정 이유 알려준다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456
추천 1
2025.02.25
공지 의료·건강·요양·주거 한번에 ‘서울형 통합돌봄서비스’ 시작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463
추천 0
2025.02.25
공지 복지 사각지대 발굴시스템 연계 정보 47종으로 확대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473
추천 0
2025.02.25
서울시, '돌봄SOS' 방문 재활·운동 치료 등 추가 지원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23
추천 0
2025.03.22
복지부, ‘장애인편의점’ 설치 지원 본격 추진‥참여 기관 모집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22
추천 0
2025.03.22
조규홍 복지부장관, 자립지원법 제정 계기 ‘장애인 자립 지원’ 적극 추진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20
추천 0
2025.03.22
여성장애인 사회참여·소득·건강 모두 남성장애인 보다 ‘열악’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31
추천 0
2025.03.17
장애인 사망률 전체 인구 대비 5.3배, 우울·치매 ‘심각’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26
추천 0
2025.03.17
복지부, ‘장애인편의점’ 설치 지원 본격 추진‥참여 기관 모집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28
추천 0
2025.03.17
11종 사회서비스 만족도 조사 평균 92점‥‘언어발달지원’ 1위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47
추천 0
2025.03.11
장애인식개선교육 ‘실효성 강화’ 대면교육 늘린다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50
추천 0
2025.03.11
서울시, 중위소득 100% 이하 장애인 가구 등 집수리 지원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44
추천 0
2025.03.11
장애인식개선교육 ‘실효성 강화’ 대면교육 늘린다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46
추천 0
2025.03.11
장애인식개선교육 ‘실효성 강화’ 대면교육 늘린다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49
추천 0
2025.03.11
65세 이상 발달장애인도 주간활동서비스 이용 가능 3월부터 65세 연령 제한 기준 폐지 등 지침 개정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72
추천 1
2025.02.25
복지부, 올해 ‘통합돌봄 시범사업’ 장애인까지 대상 확대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17
추천 0
2025.02.04
올해 장애인도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포함
M
자동관리자
조회수 98
추천 0
2025.02.04
한시련, ‘2025년도 점역?교정사 상?하반기 시험’ 일정 발표
M
자동관리자
조회수 96
추천 0
2025.02.04
작성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