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예술인 99% “장애예술인 창작지원금제도 원해”
M
자동관리자
2024.02.15
추천 0
조회수 514
댓글 0
장애인예술연구소, ‘장애예술인 창작지원금제도’ 설문조사 결과 발표
‘2022년 장애예술인수첩’에 등재된 장애예술인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99.1%가 ‘장애예술인 창작지원금제도’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장애예술인협회 부설 장애인예술연구소는 13일 ‘장애예술인 창작지원금제도 시행을 위한 설문조사’에 대한 결과를 발표했다.
장애인예술연구소는 2023년 11월 24일부터 12월 4일까지 ‘장애예술인 창작지원금제도’에 대한 장애예술인들의 의견을 알아보기 위해 14개 문항으로 구성된 구글설문지를 ‘2022년 장애예술인수첩’ 등재 550명 장애예술인을 중심으로 발송했다.
이 중 341명이 설문에 응했으며 장애예술인들은 ‘장애예술인 창작지원금제도’에 대해 99.1%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실시 방법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면 창작지원금 형태는 현금이 86.8%로 가장 많았으며 창작지원금 규모는 1,000만 원 이상의 창작지원금을 90.9%가 원하고 있었고 창작지원금 지급 기간은 매월·분기별·상·하반기별·일시급이 고른 분포를 보였다.
창작지원금 선정 방법에 대해 한번 선정이 되면 끝까지 지원받는 종신제는 9.7%였고 나머지 90.3%는 매년이 54.1%, 격년이 23.2%, 5년이 12.9%라고 나타났다. 이는 장애예술인 창작지원금제도는 공모 방식이 합리적이라는 생각이 보편적이라는 해석이다.
창작지원금 선정에 경력에 따른 구분은 신진, 중진, 원로 예술인 등의 구분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64.3%로 경력 인정에 대한 욕구가 있었고 창작지원금 신청 조건에 재산 규모가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는 답변이 74.1%로 높게 나타났다.
창작지원금에 대한 성과물 제출 기간은 매년 또는 격년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77.7%로 창작지원금 선정 방법으로 매년 또는 격년으로 응모를 통해 선정하는 방식을 원하는 77.3%와 같은 패턴을 보였다.
장애예술인 창작지원금제도로 인한 변화에 대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할 수 있다가 78.6%로 가장 높았다.
장애인예술연구소는 “조사에서 장애 정도는 심한 정도 92.0%, 심하지 않은 정도 8.0%로 장애예술인은 장애 정도가 심한 사람들이 압도적으로 많았기 때문에 장애예술인들에게는 특별한 지원제도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설득력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러한 장애예술인들의 의견에 따라 장애인예술연구소에서는 ‘장애예술인 창작지원금제도 연구’를 진행해 오는 3월에 연구 내용을 발표할 예정이다.
관련 기사
공지
복지멤버십 동시신청 가능 급여에 부모급여, 양육·아동수당 추가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063
추천 0
2025.01.15
공지
복지부, 기초생활수급자 근로능력 ‘있음’ 판정 이유 알려준다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007
추천 1
2025.02.25
공지
의료·건강·요양·주거 한번에 ‘서울형 통합돌봄서비스’ 시작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031
추천 0
2025.02.25
공지
복지 사각지대 발굴시스템 연계 정보 47종으로 확대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035
추천 0
2025.02.25
‘당신의 그림이 수첩이 됩니다’, 2024년 발달장애인 그림공모전 개최
M
자동관리자
조회수
468
추천 0
2024.02.21
‘장애인 창업 사업화 자금 지원사업’ 대상자 50명 모집
M
자동관리자
조회수
504
추천 0
2024.02.21
장애인공단, ‘근로장애인 전환지원 사업’ 진행
M
자동관리자
조회수
579
추천 0
2024.02.19
‘2024년 중증장애인 국가공무원 채용시험’ 공고, 65명 선발
M
자동관리자
조회수
466
추천 0
2024.02.19
한국장애인재단, ‘2024년 국외연수 아이디어 공모’ 접수
M
자동관리자
조회수
554
추천 0
2024.02.18
서울시, 7~9급 공무원 시험 공고‥장애인 83명 채용
M
자동관리자
조회수
559
추천 0
2024.02.15
장애예술인 99% “장애예술인 창작지원금제도 원해”
M
자동관리자
조회수
514
추천 0
2024.02.15
장애인보치아연맹, ‘2026 세계보치아선수권대회’ 유치
M
자동관리자
조회수
562
추천 0
2024.02.15
경계선 지능인 취업 지원, 독일에서 가능성을 모색하다
M
자동관리자
조회수
776
추천 0
2024.02.13
시각/청각장애인 저작권 문제없이 변환·복제 이용 가능
M
자동관리자
조회수
574
추천 0
2024.02.13
부산 장애인전용 시티투어 ‘나래버스’ 이용해 보니
M
자동관리자
조회수
557
추천 0
2024.02.09
‘의료용 착용형 로봇’ 의료기기로 지정
M
자동관리자
조회수
531
추천 0
2024.02.08
국제장애인진단 표준, 발달장애 “브레인우드 에듀페어” 3월 개교
M
자동관리자
조회수
497
추천 0
2024.02.08
개발원, ‘문화예술 특화형 장애인식개선교육 프로그램 운영기관’ 모집
M
자동관리자
조회수
538
추천 0
2024.02.07
개발원, ‘수요자 중심 장애인 지원체계 지원사업’ 참여 기초자치단체 모집
M
자동관리자
조회수
429
추천 0
2024.02.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