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으로
공지

의료·건강·요양·주거 한번에 ‘서울형 통합돌봄서비스’ 시작

M
자동관리자
2025.02.25
추천 0
조회수 1039
댓글 0

이슬기 기자 입력 2025.02.20 11:27 수정 2025.02.20 11:28


【에이블뉴스 이슬기 기자】 서울시가 돌봄이 필요한 시민이 한 번만 신청하면 필요한 돌봄지원을 끊김없이 받을 수 있는 ‘서울형 통합돌봄서비스’를 시작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신청대상자에 대한 방문진료?병원동행, 식사배달?방문 간호 등 긴급 지원부터 신체?마음건강 관리 등 장기적인 일상 지원까지 대상자별 맞춤형 계획을 수립?지원하는 약자동행 패키지형 지원이다.


이와 함께 장기요양등급 신청 등 행정적 지원과 주거환경 개선, 주택지원까지도 연계해 말 그대로 ‘서울형 원스톱 돌봄체계’를 완성하는 것이 목표다.


올해 4개 자치구에 통합돌봄센터를 시범적으로 설치?운영 후 내년 법시행에 맞춰 전체 자치구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오는 3월부터 본격 추진되는 ‘서울형 통합돌봄’은 돌봄이 필요한 본인 또는 보호자가 가까운 동주민센터에 지원을 신청하면 대상자와 심층상담을 통해 통합돌봄계획서를 수립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연계?원스톱으로 돌봄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우선 동주민센터 소속 ‘통합돌봄관리사’가 직접 대상자 가정을 방문해 심층면담과 함께 주거환경?생활상태를 살펴 필요한 지원을 파악한다.


이후 단기?단편적 돌봄이 시급할 경우엔 즉시 서비스를 연계하고, 중장기?복합적 처방이 필요하다면 자치구에 설치된 ‘통합돌봄지원센터’로 연계, 본격적인 통합돌봄 을 지원한다.


통합돌봄은 ▲보건의료 ▲건강 ▲요양 ▲돌봄 ▲주거 등 크게 다섯가지 분야를 핵심으로 연계?제공된다. 서울시정 철학인 약자동행 정책의 종합판으로 볼 수 있으며 올해 시범운영 후 서비스 영역은 지속적으로 추가?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거동이 불편해 병원을 찾기 힘든 환자와 장기요양수급자를 대상으로 의사?한의사, 간호사 등 의료진이 직접 집을 찾아가 진찰?처방하는 ‘방문진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요양병원이나 급성기 환자 중 퇴원을 앞둔 시민들의 사후관리와 지역사회로의 복귀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신체?마음 건강 돌봄서비스도 강화한다. 동행센터 방문간호사 등의 정기방문을 통해 건강을 살피고, 고위험군에 대해선 건강장수센터의 통합방문관리를 제공받는다. 건강교실?소모임 등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건강장수공동체 조성도 지원한다. 이외에도 정신질환 예방과 치료를 통한 사회복귀 지원을 위해 25개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치매안심센터, 자살예방센터 등과 연계한 서비스도 제공한다.


일상적인 생활이 어려운 어르신을 대상으로 방문목욕?간호 등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한다. 간호사?물리치료사?사회복지사 등이 팀을 이뤄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재가서비스, 병원 방문과 일반적인 외출 등 이동지원서비스 시범운영 등을 통해 대상자의 안정적 지역사회 안착도 돕는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과도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일시적이고 긴급한 위기상황에 놓인 시민에게는 돌봄SOS 사업을 통해 일시재가, 단기시설 입소, 동행지원, 주거편의서비스, 식사배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위기가구를 대상으로 생계?의료?주거비 등의 긴급지원도 연계한다. 이와 함께 전화?방문?IoT를 활용한 안전 확인 등 노인맞춤돌봄과 병원안심동행서비스, 저소득 어르신 급식지원 등 현재 다각도로 추진하고 있는 서울시의 여러 돌봄서비스에 대한 촘촘한 연계도 이어 나간다.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과 자립생활 지원을 위해 주거안심종합센터와 긴밀하게 협력해 1인가구 주택관리서비스, 노인주택지원 서비스 등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통합돌봄서비스의 빈틈없는 추진을 위해 서울시-자치구-동주민센터도 더욱 밀접하게 협력한다.


우선 ‘서울시’는 ‘서울형 통합돌봄지원 모형 개발’과 확산을 통해 시민 체감도를 높인다. 이를 위해 분야별 전문가 와 유관기관, 현장관계자로 구성된 ‘서울시 통합지원협의체’를 운영해 탄탄한 사업추진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자치구’는 돌봄이 필요한 시민을 위한 ‘통합돌봄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해 지역 내 보건소, 건강보험공단지사, 의료기관, 복지관 등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연계가능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발굴한다.


또한 민간 돌봄서비스기관의 품질관리를 통한 질 높은 돌봄환경도 조성한다. 이외에도 보건의료, 사회복지 분야 전문가와 기관이 참여하는 통합돌봄회의도 운영한다.


민 최일선에 있는 ‘동주민센터’는 통합돌봄서비스 신청?접수는 물론 현장방문 등을 통해 돌봄 대상자를 선정하고 보건소?요양기관?복지시설 등에 서비스를 직접 의뢰하는 역할을 한다.


시는 내년 본격적인 통합돌봄서비스 시행에 앞서 올해 우선 4개 자치구에 ‘통합돌봄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하고 개선사항 등을 발굴 후 하반기에 관련 조례를 제정한다는 계획이다.


윤종장 서울시 복지실장은 “서울도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현실에서 향후 노인을 비롯한 모든 연령층의 돌봄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통합돌봄서비스 전달체계를 구축하고 가동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시민이 살던 곳에서 건강하게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이슬기 기자 lovelys@ablenews.co.kr

 

출처: 에이블 뉴스(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8840)

댓글

관련 기사

공지 복지멤버십 동시신청 가능 급여에 부모급여, 양육·아동수당 추가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073
추천 0
2025.01.15
공지 복지부, 기초생활수급자 근로능력 ‘있음’ 판정 이유 알려준다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010
추천 1
2025.02.25
공지 의료·건강·요양·주거 한번에 ‘서울형 통합돌봄서비스’ 시작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039
추천 0
2025.02.25
공지 복지 사각지대 발굴시스템 연계 정보 47종으로 확대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042
추천 0
2025.02.25
‘2024년 국가공무원 공채 선발인원’ 장애인 320명 포함 5751명 확정
M
자동관리자
조회수 547
추천 0
2024.01.02
‘2024 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 문화행사 발달장애 작가들이 빛낸다
M
자동관리자
조회수 545
추천 0
2024.01.02
장애의 사회적 모델 실현 위한 호주·독일의 법적 체계
M
자동관리자
조회수 457
추천 0
2024.01.02
시청각장애인도 일할 수 있나요? “당연하죠”
M
자동관리자
조회수 515
추천 0
2024.01.02
내년 3월부터 소아?청소년 1형 당뇨 환자 정밀인슐린펌프 구입 부담 완화
M
자동관리자
조회수 473
추천 0
2024.01.02
24년도 무장애 관광 접근성과 연계성 강화할 지역 찾는다
M
자동관리자
조회수 653
추천 0
2023.12.29
내년부터 중증장애인 공무원 경력채용 경력요건 완화
M
자동관리자
조회수 532
추천 0
2023.12.28
이동 거리만 ‘지구 반바퀴’ 숨가빴던 경북장애인체력인증센터
M
자동관리자
조회수 481
추천 0
2023.12.28
장문원, 내달 29일까지‘2024년 장애예술 활성화 지원사업’ 공모
M
자동관리자
조회수 527
추천 0
2023.12.28
강동대·한국사회복지정책연구원, ‘느린 학습자 교육복지권 보장’ 맞손
M
자동관리자
조회수 529
추천 0
2023.12.27
장애인·활동지원사 매칭 서비스 플랫폼 ‘감자넷’ 출시
M
자동관리자
조회수 832
추천 0
2023.12.27
장애인공단·휴플, ‘이동취약계층 야외 여가활동 증진’ 맞손
M
자동관리자
조회수 514
추천 0
2023.12.27
장애인공단·장애인체육회, 장애체육인 취업지원 서비스 연계 시스템 구축
M
자동관리자
조회수 560
추천 0
2023.12.27
재난재해자원봉사 서비스 플랫폼 “읏차”, 유니버설디자인공모전 ‘대상’
M
자동관리자
조회수 418
추천 0
2023.12.27
‘2023 지그재그 발.자.취 展: Over the Rainbow’ 개최
M
자동관리자
조회수 482
추천 0
2023.12.27
작성
37 38 39 40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