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통합위, 문화유적지, 공연장 무장애 문화·예술 환경 조성 제안
M
자동관리자
2024.03.06
추천 0
조회수 561
댓글 0
휠체어좌 등 장애인 편의시설 확대 설치·운영, 온라인 예매시스템 도입 등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위원장 김한길, 이하 국민통합위)가 열악한 장애인 문화·예술 시설 이용·관람 편의 현실 개선을 위해 무장애(Barrier Free) 문화·예술 환경 조성을 제안했다.
국민통합위는 5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모두 함께 누리는 문화·예술에 관한 정책 제안’을 발표했다.
이번 제안은 국민통합위원회 소속 사회·문화분과위원회가 지난해 8월부터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 현장 활동가 등과 함께 논의하고 관계 부처와의 협의를 거쳐 마련됐다.
국민의 문화예술 관람 및 참여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장애·세대·주거지역 등에 따른 문화누림 양극화는 아직 해소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첫 번째 제안은 장애인의 문화·예술 시설 이용·관람 편의를 개선하기 위한 무장애 문화·예술 환경 조성이다.
그간 장애인 이용·관람 편의시설이 부족했던 4대 궁·종묘·조선왕릉 등 주요 문화유적지에 휠체어 관람시설, 점자 안내시설 등 장애인을 위한 관람 편의시설을 적극적으로 확대 설치와 함께 공연장의 경우 법령에 따라 전체 좌석의 1% 이상을 휠체어석으로 설치하고 있으나 실제 판매를 하지 않거나 온라인 예매가 어려운 사례가 많아 휠체어석 판매 의무화, 온라인 예매시스템 도입 등이 필요하다는 것.
두 번째는 고령자의 문화·예술 누림을 확대할 수 있도록 노인복지시설 등에 찾아가는 공연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경로당·노인교실 등을 통해 단순 ‘관람’보다는 고령자가 ‘직접 참여하는’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운영할 것을 제안했다.
세 번째는 전국 어디서나 쉽게 문화·예술을 누릴 수 있도록 지역의 공연·전시 공간을 확충하고, 지역 간 문화·예술 연계·교류 확대를 제안했다. 이를 위해 폐교·폐공장 등 유휴공간을 지역 문화예술인의 공연·전시 공간으로 활용하고 대도시 국공립 문화시설에 지역 작품 공연·전시 기회를 확대하는 등 지역 간 문화·예술 교류 활성화의 발판을 마련하도록 했다.
마지막으로 상생하는 OTT 산업 생태계 우선적 조성을 위해 OTT 콘텐츠 특화 산·학 연계 현장실습을 확대하고 방송통신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계기관 간 협력·조율을 통해 지속 가능하고 효율적인 정책 추진 등을 제안했다.
김한길 위원장은 “문화적 공감대 확산은 나와 다른 상대방을 이해하고 포용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면서 “장애, 세대, 지역 등에 관계없이 모두가 문화·예술을 함께 누리고 화합하는 사회를 만들어 나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중훈 기자 - 국민통합위, 문화유적지, 공연장 무장애 문화·예술 환경 조성 제안
출처 : 에이블뉴스(https://www.ablenews.co.kr)
국민통합위는 5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모두 함께 누리는 문화·예술에 관한 정책 제안’을 발표했다.
이번 제안은 국민통합위원회 소속 사회·문화분과위원회가 지난해 8월부터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 현장 활동가 등과 함께 논의하고 관계 부처와의 협의를 거쳐 마련됐다.
국민의 문화예술 관람 및 참여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장애·세대·주거지역 등에 따른 문화누림 양극화는 아직 해소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첫 번째 제안은 장애인의 문화·예술 시설 이용·관람 편의를 개선하기 위한 무장애 문화·예술 환경 조성이다.
그간 장애인 이용·관람 편의시설이 부족했던 4대 궁·종묘·조선왕릉 등 주요 문화유적지에 휠체어 관람시설, 점자 안내시설 등 장애인을 위한 관람 편의시설을 적극적으로 확대 설치와 함께 공연장의 경우 법령에 따라 전체 좌석의 1% 이상을 휠체어석으로 설치하고 있으나 실제 판매를 하지 않거나 온라인 예매가 어려운 사례가 많아 휠체어석 판매 의무화, 온라인 예매시스템 도입 등이 필요하다는 것.
두 번째는 고령자의 문화·예술 누림을 확대할 수 있도록 노인복지시설 등에 찾아가는 공연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경로당·노인교실 등을 통해 단순 ‘관람’보다는 고령자가 ‘직접 참여하는’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운영할 것을 제안했다.
세 번째는 전국 어디서나 쉽게 문화·예술을 누릴 수 있도록 지역의 공연·전시 공간을 확충하고, 지역 간 문화·예술 연계·교류 확대를 제안했다. 이를 위해 폐교·폐공장 등 유휴공간을 지역 문화예술인의 공연·전시 공간으로 활용하고 대도시 국공립 문화시설에 지역 작품 공연·전시 기회를 확대하는 등 지역 간 문화·예술 교류 활성화의 발판을 마련하도록 했다.
마지막으로 상생하는 OTT 산업 생태계 우선적 조성을 위해 OTT 콘텐츠 특화 산·학 연계 현장실습을 확대하고 방송통신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계기관 간 협력·조율을 통해 지속 가능하고 효율적인 정책 추진 등을 제안했다.
김한길 위원장은 “문화적 공감대 확산은 나와 다른 상대방을 이해하고 포용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면서 “장애, 세대, 지역 등에 관계없이 모두가 문화·예술을 함께 누리고 화합하는 사회를 만들어 나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중훈 기자 - 국민통합위, 문화유적지, 공연장 무장애 문화·예술 환경 조성 제안
출처 : 에이블뉴스(https://www.ablenews.co.kr)
관련 기사
공지
복지멤버십 동시신청 가능 급여에 부모급여, 양육·아동수당 추가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073
추천 0
2025.01.15
공지
복지부, 기초생활수급자 근로능력 ‘있음’ 판정 이유 알려준다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010
추천 1
2025.02.25
공지
의료·건강·요양·주거 한번에 ‘서울형 통합돌봄서비스’ 시작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040
추천 0
2025.02.25
공지
복지 사각지대 발굴시스템 연계 정보 47종으로 확대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042
추천 0
2025.02.25
129 보건복지부 상담’ 앱, 언어·청각장애인용 수어영상상담 가능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52
추천 0
2025.04.05
서울시, 자치구 ‘청각장애인 화재경보 시각화·장애인 맞춤 건강관리’ 추진 기자명이슬기 기자 입력 2025.03.27 07:56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54
추천 0
2025.04.05
네일리스트 꿈 키운 '서울형 장애인 개인예산제’ 올해 확대 5월 중 2차 시범사업 130명 모집‥발달장애인 새롭게 추가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52
추천 0
2025.04.05
몸 상태뿐 아니라 주체적인 삶 영위 ‘중증장애인의 건강 인식’ ‘2024 장애인 건강보건관리사업’ 예산 100억원‥6년간 6배 증가 당사자 중심 맞춤형 건강관리·건강 정책 당사자 참여 등 필요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74
추천 0
2025.03.29
서울시, 자치구 ‘청각장애인 화재경보 시각화·장애인 맞춤 건강관리’ 추진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81
추천 0
2025.03.29
“척수장애인 일회용 카테터 보험 인정 기준 확대 필요”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78
추천 0
2025.03.29
서울시, '돌봄SOS' 방문 재활·운동 치료 등 추가 지원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02
추천 0
2025.03.22
복지부, ‘장애인편의점’ 설치 지원 본격 추진‥참여 기관 모집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04
추천 0
2025.03.22
조규홍 복지부장관, 자립지원법 제정 계기 ‘장애인 자립 지원’ 적극 추진
N
M
자동관리자
조회수
91
추천 0
2025.03.22
여성장애인 사회참여·소득·건강 모두 남성장애인 보다 ‘열악’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09
추천 0
2025.03.17
장애인 사망률 전체 인구 대비 5.3배, 우울·치매 ‘심각’
M
자동관리자
조회수
86
추천 0
2025.03.17
복지부, ‘장애인편의점’ 설치 지원 본격 추진‥참여 기관 모집
M
자동관리자
조회수
97
추천 0
2025.03.17
11종 사회서비스 만족도 조사 평균 92점‥‘언어발달지원’ 1위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14
추천 0
2025.03.11
장애인식개선교육 ‘실효성 강화’ 대면교육 늘린다
M
자동관리자
조회수
117
추천 0
2025.03.11
서울시, 중위소득 100% 이하 장애인 가구 등 집수리 지원
M
자동관리자
조회수
98
추천 0
2025.03.11
댓글